서울 외국인관광객, 아시아 '명동', 구․미주 '고궁' 간다…'치안' 만족
- 시-경희대,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서울 여행 관광객 종합 분석 결과 발표
- 아시아 관광객 ‘명동 쇼핑’, 구·미주 ‘유적 방문’ 선호…여행 후 한국 이미지 상승
- 중국·구주 관광객 ‘나홀로 여행’, 기타아시아 ‘3명 이상’, 여행정보 입수경로 ‘인터넷’
□ 2017년 서울을 여행한 외국인 관광객 중 아시아(중국, 일본, 기타지역) 관광객은 ‘명동’을, 구·미주 관광객은 ‘고궁’을 가장 만족하는 여행 장소로 꼽았다. 만족도 1위 관광 활동 역시 아시아 관광객은 ‘쇼핑’, 구·미주 관광객은 ‘고궁·유적지 방문’이었다. 대부분 여행객들은 서울의 ‘치안’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서울관광의 만족도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 향상으로 이어졌다. 서울을 방문한 미주지역 외국인 관광객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좋다, 매우좋다 응답률)가 여행 후 19.3%P(78.5%→97.3%) 상승했다. 구주지역 외국인 관광객도 여행 후 이미지 향상 폭이 19.1%P(77.7%→96.8%)로 나타났다.
□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으로 경희대학교와 함께 ‘2017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한국관광공사)’의 서울방문 외래관광객 국가별 여행실태를 종합 분석한 「미래 도시관광 트렌드 전망 및 서울시 도시관광 포지셔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일본 재방문, 구·미주 첫 방문 비율↑… 여행정보 입수 경로는 ‘인터넷’>
□ 분석결과, 방한횟수의 경우 중국과 일본은 재방문 비율이 높았고, 구·미주, 기타아시아는 첫 방문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세부적으로 구‧미주 및 기타아시아는 “첫 방문”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은 “첫 방문”과 “4회 이상” 방문이 유사한 수치로 높게 나타난 반면, 일본은 “4회 이상”방문하는 관광객이 특히 높은 비율(51.1%)을 차지하였다.
※ 기타아시아 : 홍콩, 싱가포르,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이 대상임(중국, 일본 제외)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의 여행목적 방한 경험(%)
구분 |
중국 |
일본 |
기타아시아 |
미주 |
구주 |
1회 |
37.4 |
28.5 |
54.3 |
64.4 |
57.7 |
2회 |
22.1 |
11.5 |
19.5 |
15.7 |
18.3 |
3회 |
12.2 |
8.8 |
8.0 |
6.8 |
7.9 |
4회 이상 |
28.3 |
51.1 |
18.2 |
13.1 |
16.1 |
합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서울을 여행하기로 결정한 시점은 중국과 일본, 기타아시아 지역은 ‘1개월전’으로 응답한 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구주는 ‘3~4개월 전’, 미주는 ‘5~9개월 전’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볼 때, 국가별 마케팅 시점과 전략 등을 차별화하여 수립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의 한국여행 결정시점
구분 |
1위 |
2위 |
3위 |
특이점 |
중국 |
1개월 전 (64.7%) |
2개월 전 (16.3%) |
3~4개월 전 (12.6%) |
1개월 전 결정이 현저하게 높음 |
일본 |
1개월 전 (40.9%) |
2개월 전 (26.9%) |
3~4개월 전 (21.3%) |
1개월 전 결정이 현저하게 높지만 중국보다는 완만함 |
기타
아시아 |
1개월 전 (28.4%) |
3~4개월 전 (25.2%) |
5~9개월 전 (20.7%) |
전반적으로 1개월 전, 3~4개월 전, 5~9개월 전 등이 고르게 나타남 |
미주 |
5~9개월 전 (62.6%) |
3~4개월 전 (24.6%) |
1개월 전 (20.5%) |
5~9개월 전 결정이 현저하게 높음 |
구주 |
3~4개월 전 (26.3%) |
1개월 전 (23.7%) |
5~9개월 전 (19.9%) |
3~4개월 전, 1개월 전, 5~9개월 전 등이 고르게 나타남 |
□ 서울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은 주로 ‘인터넷’을 통해 한국에 대한 여행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관광객의 경우에는 ‘친구/친지/동료(64.7%)’에게서 정보를 얻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이는 최근 중국인 개별관광객(싼커)이 증가하면서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여행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향후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특색 있는 체험형 관광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 정보 입수 경로
구분 |
1위 |
2위 |
3위 |
중국 |
친지/친구/동료(64.7%) |
인터넷(16.3%) |
여행사(12.6%) |
일본 |
인터넷(40.9%) |
친지/친구/동료(26.9%) |
정보를 얻지 않음(21.3%) |
기타아시아 |
인터넷(28.4%) |
친지/친구/동료(25.2%) |
여행사(20.7%) |
미주 |
인터넷(62.6%) |
친지/친구/동료(24.6%) |
여행사(20.5%) |
구주 |
인터넷(26.3%) |
친지/친구/동료(23.7%) |
정보를 얻지 않음(19.9%) |
□ 서울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여행동반자를 살펴보면, 중국(40.9%)과 구주지역(49.8%) 관광객의 ‘나홀로 여행’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은 ‘2인 동반’여행이 많았으며, 반면 기타아시아는 ‘3명 이상’ 관광객이 많았다.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의 동반자 현황(%)
구분 |
중국 |
일본 |
기타아시아 |
미주 |
구주 |
1명 |
40.9 |
29.3 |
18.9 |
52.3 |
49.8 |
2명 |
36.7 |
43.0 |
30.2 |
28.0 |
29.7 |
3명 이상 |
22.4 |
27.7 |
50.9 |
19.7 |
20.5 |
합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서울여행 만족도 1위 관광 활동 아시아 ‘쇼핑’, 구·미주 ‘고궁·유적지 방문’>
□ 또한 서울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이 ‘한국을 여행지로 선택할 때 고려한 요인’과 ‘서울에서 만족한 관광활동’, ‘서울의 주요 방문장소’를 분석한 결과, 중국‧일본‧기타아시아‧미주‧구주 등 국가별로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 중국과 일본, 기타아시아 지역 관광객의 경우, 쇼핑‧자연풍경‧음식탐방‧한류체험‧문화체험 등의 항목 중에서 “한국을 선택한 주요 고려요인”은 ‘쇼핑’이었으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도 ‘쇼핑(42.8%)’인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미주와 구주지역의 관광객은 ‘역사/문화유적’ 요소를 고려해 한국을 여행지로 선택하였고, 고궁이나 역사문화 유적지를 방문한 것에 가장 만족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 간 차이를 보였다.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의 한국 선택 시 주요 고려요인
구분 |
1위 |
2위 |
3위 |
중국 |
쇼핑(29.2%) |
자연풍경(9.7%) |
패션/유행 등 세련된 문화(7.0%) |
일본 |
쇼핑(24.0%) |
음식/미식탐방(13.8%) |
한류(11.9%) |
기타아시아 |
쇼핑(19.9%) |
자연풍경(19.5%) |
음식/미식탐방(8.6%) |
미주 |
역사/문화유적(9.6%) |
자연풍경(4.9%) |
여행 가능한 여가시간(4.9%) |
구주 |
역사/문화유적(10.8%) |
자연풍경(7.8%) |
쇼핑(4.5%) |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이 만족한 관광활동
구분 |
1위 |
2위 |
3위 |
중국 |
쇼핑(42.8%) |
식도락 관광(26.3%) |
자연경관 감상(5.9%) |
일본 |
쇼핑(42.8%) |
식도락 관광(26.3%) |
공연/민속행사/축제참가 및 관람(8.6%) |
기타아시아 |
쇼핑(42.8%) |
식도락 관광(26.3%) |
자연경관 감상(11.5%) |
미주 |
고궁/역사 유적지 방문(21.6%) |
쇼핑(15.1%) |
업무수행(8.8%) |
구주 |
고궁/역사 유적지 방문(17.7%) |
쇼핑(12.6%) |
업무수행(12.1%) |
○ 더불어 서울 방문 관광객들이 가장 만족했던 방문장소 역시 중국과 일본, 기타아시아 지역에서는 ‘명동’, 구‧미주 지역은 ‘고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 서울 방문 관광객이 만족한 방문장소
구분 |
1위 |
2위 |
3위 |
특이점 |
중국 |
명동(30.9%) |
동대문시장(9.7%) |
남산/N 서울타워 (8.8%) |
고궁
가로수길 |
일본 |
명동(33.0%) |
신촌/홍대주변(9.2%) |
동대문시장(8.1%) |
강남역
고궁 |
기타아시아 |
명동(20.6%) |
고궁(14.0%) |
남산/N 서울타워 (6.9%) |
동대문시장
신촌/홍대주변 |
미주 |
고궁(20.8%) |
명동(7.8%) |
이태원(7.2%) |
신촌/홍대주변
남산/N 서울타워 |
구주 |
고궁(21.1%) |
명동 & 강남역 (6.5%) |
남산/N 서울타워 (5.9%) |
잠실(롯데월드)
동대문시장 |
□ 서울 방문 외래관광객의 체류기간을 비교해 볼 때, 일본이 3일로 가장 짧게 체류했고, 중국과 기타아시아는 5일정도, 구‧미주는 11~20일로 가장 길게 체류했다.
※ 표 : 서울 방문 관광객의 체류기간
구분 |
1위 |
2위 |
3위 |
중국 |
5일(24.0%) |
4일(17.1%) |
6일(10.8%) |
일본 |
3일(53.0%) |
4일(22.1%) |
2일(12.1%) |
기타아시아 |
5일(33.0%) |
4일(18.0%) |
6일(13.6%) |
미주 |
11~20일(16.5%) |
4일(13.1%) |
5일(10.6%) |
구주 |
11~20일(16.0%) |
4일(12.0%) |
5일(9.5%) |
□ 서울 방문 관광객의 주요 쇼핑품목은 중국관광객은 향수‧화장품을 일본과 구‧미주, 기타아시아 관광객은 의류를 많이 구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 또한 주요 쇼핑장소 또한 국적별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관광객은 시내면세점(37.9%), 일본관광객은 명동(28.1%), 미주지역 관광객은 백화점(19.9%), 기타아시아와 구주지역은 공항면세점(23.7%, 24.0%)을 주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 서울 방문 관광객의 주요 쇼핑 품목
구분 |
1위 |
2위 |
3위 |
중국 |
향수/화장품(38.1%) |
의류(30.7%) |
피혁제품(8.8%) |
일본 |
의류(32.5%) |
향수/화장품(22.2%) |
식료품(14.3%) |
기타아시아 |
의류(36.6%) |
향수/화장품(21.9%) |
신발류(20.0%) |
미주 |
의류(30.8%) |
향수/화장품(10.8%) |
식료품(9.1%) |
구주 |
의류(29.6%) |
향수/화장품(12.9%) |
식료품(7.2%) |
※ 표 : 서울 방문 관광객의 주요 쇼핑장소
구분 |
1위 |
2위 |
3위 |
중국 |
시내 면세점(37.9%) |
공항 면세점(36.0%) |
백화점(8.8%) |
일본 |
명동(28.1%) |
공항 면세점(15.5%) |
동대문시장(11.1%) |
기타아시아 |
공항 면세점(23.7%) |
백화점(15.0%) |
시내 면세점(14.8%) |
미주 |
백화점(19.9%) |
공항 면세점(17.1%) |
남대문시장(12.2%) |
구주 |
공항 면세점(24.0%) |
백화점(20.1%) |
남대문시장(10.1%) |
<서울여행 만족도, 타인추천 의향 ‘구․미주’ 높아, 여행 후 한국 이미지 상승 >
□ 서울여행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구‧미주 관광객이었으며,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도 구‧미주지역의 관광객이었다.
※ 표 : 서울 방문 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 및 사후행동 의도 (5점 만점)
구분 |
전반적 만족도 |
재방문 의향 |
타인 추천의향 |
중국 |
4.33 |
4.10 |
4.10 |
일본 |
4.32 |
4.32 |
4.27 |
기타아시아 |
4.37 |
4.23 |
4.32 |
미주 |
4.67 |
4.29 |
4.59 |
구주 |
4.59 |
4.26 |
4.52 |
□ 여행 중 숙박, 음식, 쇼핑, 치안 등 세부영역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치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 특히, 중국과 기타아시아, 미주 지역 관광객들이 여러 항목 중에서도 ‘치안’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서울 방문 관광객이 세부 항목별 만족도 (5점 만점)
구분 |
중국 |
일본 |
기타아시아 |
미주 |
구주 |
전반적 만족도 |
4.33 |
4.32 |
4.37 |
4.67 |
4.59 |
출입국 절차 |
4.43 |
3.97 |
4.26 |
4.60 |
4.47 |
대중교통 |
4.43 |
4.07 |
4.33 |
4.65 |
4.59 |
숙박 |
4.40 |
4.21 |
4.30 |
4.54 |
4.49 |
음식 |
4.21 |
4.46 |
4.19 |
4.68 |
4.43 |
쇼핑 |
4.39 |
4.09 |
4.34 |
4.11 |
4.87 |
관광지 매력도 |
4.30 |
4.05 |
4.31 |
4.55 |
4.43 |
관광안내 서비스 |
4.38 |
3.95 |
4.20 |
4.40 |
4.25 |
언어소통 |
4.06 |
3.79 |
3.62 |
4.07 |
3.73 |
여행경비 |
4.15 |
4.07 |
3.87 |
4.29 |
3.97 |
치안 |
4.60 |
4.10 |
4.42 |
4.75 |
4.72 |
□ 주목할 만 한 점은 서울 여행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이미지가 훨씬 더 좋아졌다는 것이다. 이는 서울관광의 품질과 서비스가 국가 브랜드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울의 관광산업 활성화 등 관광객 유치를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특히, 구‧미주 관광객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 향상 폭이 컸다. 한국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좋다’와 ‘매우 좋다’) 의견이 여행전·후 미주지역(78%→97.3%)과 구주지역(77.7%→96.8%)에서 각각 19.3%p와 19.1%p로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 표 : 서울 방문 외래관광의 한국 여행 전/후에 대한 이미지 변화
구분 |
한국 여행 전 이미지 |
한국 여행 후 이미지 |
표본수 |
구성비(%) |
표본수 |
구성비(%) |
중국 |
매우 나쁨 |
2 |
0.0 |
- |
- |
나쁨 |
6 |
0.2 |
12 |
0.4 |
보통 |
448 |
13.2 |
295 |
8.7 |
좋음 |
2,027 |
59.8 |
1,863 |
54.9 |
매우 좋음 |
910 |
26.8 |
1,224 |
36.1 |
합계 |
3,393 |
100.0 |
3,393 |
100.0 |
일본 |
매우 나쁨 |
- |
- |
- |
- |
나쁨 |
54 |
2.8 |
7 |
0.4 |
보통 |
442 |
22.8 |
224 |
11.6 |
좋음 |
1,049 |
54.1 |
1,025 |
52.9 |
매우 좋음 |
394 |
20.3 |
682 |
35.2 |
합계 |
1,939 |
100.0 |
1,939 |
100.0 |
기타
아시아 |
매우 나쁨 |
1 |
0.0 |
1 |
0.0 |
나쁨 |
16 |
0.5 |
9 |
0.3 |
보통 |
606 |
19.1 |
214 |
6.7 |
좋음 |
1,774 |
55.8 |
1,601 |
50.4 |
매우 좋음 |
783 |
24.6 |
1,354 |
42.6 |
합계 |
3,180 |
100.0 |
3,180 |
100.0 |
미주 |
매우 나쁨 |
- |
- |
- |
- |
나쁨 |
5 |
0.6 |
1 |
0.1 |
보통 |
205 |
21.5 |
24 |
2.6 |
좋음 |
476 |
49.9 |
314 |
32.9 |
매우 좋음 |
267 |
28.1 |
614 |
64.4 |
합계 |
953 |
100.0 |
953 |
100.0 |
구주 |
매우 나쁨 |
- |
- |
- |
- |
나쁨 |
3 |
0.7 |
- |
- |
보통 |
102 |
21.5 |
15 |
3.0 |
좋음 |
235 |
49.3 |
183 |
38.3 |
매우 좋음 |
136 |
28.4 |
279 |
58.5 |
합계 |
477 |
100.0 |
477 |
100.0 |
□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도시 관광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4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 먼저, 지속가능한 도시 관광을 위해 “경쟁력을 갖춘 관광도시”, “시민이 살기 좋은 관광도시”, 오버투어리즘의 극복, 무장애관광 등이 가능한 “포용적 성장이 가능한 관광도시”, 자연재해‧테러 등 위기대응책이 마련된 “안전하고 복원력 있는 관광도시”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 이를 위해 서울시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세부계획을 실천해나가고 있다.
□ 2018년 한 해 서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200만 명을 넘어섰다. 2017년 사드의 영향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은 시장 다변화를 통해 전년 대비 15.1%의 성장세를 보이며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16년도 1,345만명의 90% 수준까지 회복됐다.
□ 주용태 서울특별시 관광체육국장은 “서울시는 이번 연구결과와 지난해 발표한 「서울관광 중기 발전계획(2019~2023)」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광자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서울관광을 활성화할 계획”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서울관광의 매력을 관광정책 수립에 참고할 예정이다. 이를 중점적으로 타깃별 마케팅을 통해 올해에는 1,35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