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 속에서 얻는 힐링
- 경기도 광명시 -
광명시에서는 수도권 유일의 폐광산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은과 동, 아연 등을 채굴하던 이 광산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곳으로, 한동안 폐쇄되어 있던 것을 2011년부터 일반인에게 일부 개방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노역에 지친 광부들 대신 웃음소리가 울려 퍼지는 곳, 가학 광산 동굴. 광명시의 뼈아픈 역사의 현장인 동시에 아름다운 문화유산인 이곳을 무대로 <트래블아이>가 색다른 제안을 하나 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미션, ‘동굴 안에서 힐링을 경험하고 오라!’
광명 8경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가학 광산 동굴. 총 길이는 8km, 깊이는 300여 미터에 달한다고 하니 입구까지 오르기도 만만치 않은 길이다.
“어휴, 더워. 대체 이 계단은 어디까지 이어져 있는 거야?” “우리가 밟고 있는 이 아래가 바로 동굴이라고 생각해 봐. 게다가, 수십 년 전에는 우리 할아버지 세대가 이 길을 강제로 올라야 했다고. 생각할 거리가 많아지는 길이야.”
“듣고 보니 그러네. 투덜거리지 말고 숙연한 마음으로 올라가야겠어.”
가학 광산 동굴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꼭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동굴인 만큼 발밑을 조심하며 걷는 것도 잊지 말자. 동굴 안은 꽤 추우니 겉옷을 가져가는 것도 훌륭한 팁.
“동굴에 들어서자마자 피서를 온 기분이야! 어쩌면 이렇게 시원할 수가 있지? 쌓였던 피로가 한 번에 확 풀리는 느낌인데? 내 모습을 좀 봐! 만화 주인공 같지 않아?”
“하하, 벌써 감동하면 어떻게 해. 우리의 힐링은 지금부터라고.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했는지도 꼭 확인해 보도록 해.”
일제강점기에 징용되었던 사람들은 동굴 벽에 나무 쐐기를 박고 호미와 곡괭이로 쉴 새 없이 돌을 파내는 작업을 해야만 했다던데, 그 때 그 쐐기가 아직도 남아있다?
“세상에, 저것 좀 봐. 계단을 오를 때에도 잘 느껴지지 않았는데, 이 쐐기를 보니 마음이 아파 와. 잘 박히지도, 빠지지도 않을 것 같은데 얼마나 힘들었을까?”
“우리 조상들이 겪었던 고통이 그대로 전해지는 것 같아.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준 것을 ‘가슴에 쐐기를 박는다.’고 하는데, 그게 그렇게 끔찍한 일이었구나. 반성해야겠어.”
역사의 아픔을 느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번 여행의 목적은 그 아픔을 딛고 일어선 동굴의 모습을 보는 것! 색색의 조명으로 밝혀진 동굴은 마치 다른 세상 같은 느낌이다.
“동굴 벽에 비치는 조명들이 정말 아름다워. 지하 하천까지 흐르고 있으니, 마치 오색의 반디가 날고 있는 요정의 나라에 온 것 같은 기분이야.”
“조상들이 강제 노역을 당하던 곳이 이렇게 아름다워질 수 있다니 참 아이러니하지? 그 분들도 이곳을 보신다면 참 좋아하실 것 같아. 마치 동굴에 새살이 돋은 것 같지 않니?”
광명시는 와인 업체 등과 발효식품 관광 자원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맺기도 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톡톡히 한 몫을 하고 있는 셈. 폐광산의 변신이 놀랍다.
“저 아래에서는 와인이나 새우젓 같은 발효 식품들을 숙성시키고 있대. 소래포구와도 협약을 맺었다는데, 동굴 안에서 발효된 음식들은 더 맛있을 것 같아.”
“어두운 곳인 줄만 알았는데, 그 안에서도 정말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구나. 편견을 가지고 있던 내 자신이 부끄러워. 좀 더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볼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어.”
가학 광산 동굴에서는 단편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는 영화관과 350석 규모의 예술의 전당을 갖추고 있다. 동굴 안에서 즐기는 아름다운 음악은 상상 이상이라는데?
“음악을 틀어놓은 것인 줄 알았는데, 직접 아카펠라 공연을 하고 있잖아! 맑은 목소리들이 동굴 안을 가득 채우고 있어. 정말 환상적이야!”
“복잡했던 머릿속이 싹 씻겨나가는 느낌인데? 사람들의 표정을 좀 봐! 모두 감동에 젖어 있는 것 같아. 동굴에서 열리는 프러포즈 데이 행사도 있다고 들었는데, 꼭 한 번 보고 싶다.”
동굴이 또다시 변신하고 있다. 열대어와 1급수 물고기들이 살고 있는 대형 수족관이 차례차례 설치되기 시작한 것. 동굴 속에서 보는 물고기들의 모습도 색다르다.
“동굴 안에 수족관이라니, 멋진 아이디어야! 동굴의 환상적인 분위기가 한층 더 살아나는 것 같아. 저것 봐. 아이들은 물론이고, 어른들까지도 수족관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어."
“이 수족관의 물은 우리가 아까 보았던 지하 하천 물이라고 해. 1급수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헤엄치고 있는 모습을 보니, 우리가 얼마나 청정한 곳에 들어와 있는지가 실감나는데?”
동굴을 나오면 자그마한 인공 계곡이 보인다. 여름에는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이라는 이곳. 인적이 드물다면 살짝 발을 담그고 생각을 정리해 보는 건 어떨까?
“앗, 물이 정말 차가워! 게다가 아주 맑은데? 마지막 남은 근심걱정까지 싹 사라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여기 이렇게 앉아 있으니 동굴 속에서 본 것들이 모두 꿈만 같아.”
“이야, 기분이 정말 상쾌해졌어. 들어가기 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데? 지금 우리가 앉아있는 곳 아래도 동굴이겠지? 이제는 매일 매일이 새로운 느낌일 것 같아!”
일반인에게 개방된 가학 광산 동굴은 극히 일부, 가장 안전한 지역입니다. 순차적인 개발을 통하여 더 깊은 곳도 관람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는데요, 이곳에 공원을 조성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라고 하니, 몇 번이고 다시 가 볼만한 가치가 있는 곳 같습니다. 강제 노역장에서 버려진 폐동굴로, 그리고 지금의 관광 명소로 거듭나기까지. 상처를 숨겨두면 덧날뿐이니, 힐링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한 발짝을 내딛어 보는 것이 어떨까요? 가학 광산 동굴의 변화하는 모습처럼 우리들도 변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