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내 눈길을 잡아끌었던 것은 ‘소금꽃 피었네, 갯골로 소풍가자!’라는 문구가 아니라 눈부시게 하얀 꽃이 쏟아져 내리고 있는 모습을 담아낸 포스터였다. 몇 달 째 공강 시간마다 사거리의 카페에 앉아 지나가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크로키를 연습하고 있지만 도심에서 하는 크로키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변화가 필요해.”
쥐고 있는 연필을 내려놓은 내 입에서 자연스러운 혼잣말이 튀어나왔다. 처음 창가 자리에 앉았을 때에는 하나하나가 특별해 보였던 사람들의 복장이나 표정들도 몇 달이나 크로키를 계속 해 온 지금은 모두 엇비슷해 보인다. 다들 뭐가 그렇게 피곤한 걸까. 조금 더 다양하고 생기 넘치는 표정들을 그려보고 싶었는데, 미소를 띤 채 걷는 사람들을 찾기가 참 어려운 일이었다.
수업이 없는 날을 기다려 작은 스케치북과 연필 한 자루만을 가방에 챙겨 넣고는 집을 나섰다. 가방이 가벼워서 그런지 아니면, 오랜만에 가보는 지역 축제에 대한 기대 때문인지 몸도 마음도 가벼웠다.
역시나 갯골생태공원에 도착해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코스모스 꽃길도, 갖가지 재미있는 모양을 한 조형물들이나 염전도 아닌 축제를 방문한 사람들의 생동감 넘치는 표정이었다. 사람들이 메고 있는 가방에는 분명히 도시락이나 카메라 같은 오늘을 위한 준비물이 들어있을 것이다. 각자 세운 나들이 계획만큼이나 즐거워 보이는 사람들을 그리기 위해 당장 스케치북과 연필을 꺼내 들고 싶었지만, 일단은 공원 안으로 들어가야겠다는 생각에 코스모스 길을 따라 걸었다. 초가을인데도 갖가지 색깔의 코스모스가 공터에 한가득 피어 있었다.
무엇보다 마음에 드는 점은 어느 방향으로 걸어도 아이들의 웃는 목소리가 들린다는 것이었다. 표정이 다양한데다가 어떤 표정을 지어도 사랑스러운 아이들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크로키 대상이지만, 대학교 근처에서는 좀처럼 보기가 어렵다. 나는 아이들 한 무리를 데리고 소풍을 나온 초등학교 선생님 같은 기분으로 아이들 한 명 한 명을 주의 깊게 바라보며 발걸음을 옮겼다.
그런데 모래 대신 하얀 소금이 깔려 있는 놀이터 한 구석에 있는 어린 여자아이 하나가 눈에 띄었다. 처음에는 그저 열심히 놀다가 기운이 빠져 잠시 앉아 쉬는 모양이라고 생각했는데, 전망대에 올라 갯골생태공원의 전경을 감상하고 내려온 뒤에도 여전히 그 자리에 앉아 있는 아이를 보고는 불안한 마음에 말을 걸었다.
“얘, 혹시 엄마를 잃어버렸니?”
아이가 도리질을 했다. 엄마가 잠시 풍경 사진을 찍으러 다녀오실 동안 오빠와 놀고 있으라고 했는데, 또래 아이들을 만나 신이 난 오빠가 자신을 놀이에 끼워 주지 않는단다. 아이가 손가락질 하는 곳을 바라보자, 초등학교 사오 학년 정도 되어 보이는 아이들이 모여 노는 가운데서 아이와 꼭 닮은 짱구머리 남자아이가 눈에 띄었다. 아이가 혼자 다른 곳으로 가 버리면 그대로 미아가 될 터였다. 나는 잠시 아이의 보호자가 되어 주기로 결심하고는 아이의 옆에 털썩 주저앉아 스케치북과 연필을 꺼냈다.
“언니, 화가예요?”
아이가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스케치북을 들여다보았다. 아직 화가는 아니고 화가 지망생이지, 하고 솔직하게 대답하려다가 그냥 유명한 화가라고 거짓말을 해 버렸다. 아이는 설레는 눈빛으로 빈 스케치북을 들여다보다가는 자기 얼굴을 그려 달라며 내 앞으로 자리를 옮겨 앉았다. 사진관에 갔을 때처럼 잔뜩 긴장한 표정으로 내 앞에 앉은 아이를 보다가 웃음이 나왔다.
어린아이를 그리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아이들은 좀처럼 가만히 있지 못하고, 뭐가 그리 재미있는지 끊임없이 웃음을 터뜨린다. 어느 새 내 주변에 아이들이 몰려들었다. 아이들은 다음은 자기 차례라며 티격태격하다가도 또 웃는다. 웃음꽃이 피었다. 아이들의 소매며 바지 자락에 묻은 소금꽃들도 햇빛을 받아 반짝반짝 빛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