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발원지를 찾아서
- 전라북도 진안군 -
유장히 흐르는 강이 어느 산 속 조그마한 샘에서 비롯된다는 이야기는 왠지 감동으로 다가옵니다. 시작은 미미했으나 끝은 창대하기에 그럴 겁니다. 전북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팔공산자락에서 솟는, 혀끝 간질이는 이름을 가진 데미샘은 이 어여쁜 이름만으로 그 출신을 짐작키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샘은 수많은 발원 가운데 강 하구로부터 가장 먼 ‘최장 발원지’라 합니다. 그야말로 섬진강의 발원이 되는 창대한 샘입니다. 그 사실에 다소 의문점이 생긴다면 직접 가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 <트래블아이>의 미션도 바로 그것입니다!
‘처음’ 혹은 ‘원조’라는 단어를 놓고 지역 간에 갑론을박으로 시끄러울 때가 종종 있었다. 하지만 섬진강의 발원지가 데미샘이라는 데에 그 누구도 토를 달지 않는 이유는 뭘까?
“섬진강 발원지를 놓고 <택리지>에 마이산, <동국여지승람>엔 지리산, <동아대백과사전>엔 팔공산 하는 식으로 주장이 중구난방이었죠. 강의 발원은 한두 군데도 아니거니와 호남 정맥으로 보면 그들 모두가 발원지라 볼 수도 있는데, 어떻게 데미샘이란 사실을 찾아내신 거죠?”
“벌써 오래전 얘기가 됐네요. 1983년 직접 섬진강을 걸으면서 발원지를 계측했어요.”
데미샘으로 가는 길은 인적이 드물다. 마을 위쪽 팔선정이란 정자에서 데미샘에 이르는 1㎞의 산속 오솔길을 걸으면 눈앞에 펼쳐진 황홀경에 자꾸 주변을 둘러보게 된다.
“산기슭에 있는 저 원신암 마을은 한눈에 봐도 10가구도 채 남지 않은 듯하군요. 그래서인지, 내심 허전한 마음도 들고….”
“그래도 이 계곡을 따라 오르는 오솔길은 꽤 호젓한 맛이 있으니 위안을 삼아보는 건 어떠세요. 머리 위로는 총천연색 단풍이, 발아래로는 그보다 낮은 명도의 낙엽이….”
데미샘은 가을이 좋다더니 과연 그렇다. 졸졸 계곡 물소리, 낙엽 밟는 소리와 잠깐의 바람에 흩날리는 소리 등 자연의 소리가 함께 따라온다.
“적막이 흐르는 듯 너무나 고요하다가도 금세 등장하는 산속의 소리들이 있네요.”
“가만, 물소리가 그쳤군요. 가을에 이 산길 풍광은 더없이 좋은데 물이 부족한 게 흠이에요. 그래도 데미샘 물은 결코 마르는 법이 없죠.” “듣고 보니 참 신기하네요.”
수량이 적다는 팔공산자락. 바위틈으로 적은 양이지만 흐르는 물을 발견하게 되면 내심 반가운 마음이 들면서 발걸음도 더욱 바빠진다.
“다행히 저 계곡 바위 밑에서 물이 똑똑 떨어지고 있네요. 왠지 데미샘을 빨리 만나봐야 할 것 같아요.”
“하하~ 늘 솟던 샘이 우리가 가는 사이 마를 일은 없을 텐데요. 하지만 바위들이 넓게 펼쳐진 너덜지대가 저기 보이죠? 우리는 곧 데미샘을 만나게 될 겁니다.”
숨이 턱까지 차오를 때쯤 데미샘은 무심히 나타난다. 직경이 두 뼘도 채 안 되는 작은 옹달샘이 옆으로 ‘섬진강 발원샘’이라는 표지석이 자랑스레 서 있다.
“이 글귀를 보니 정말 우리가 데미셈에 오긴 온 모양이군요. 아, 여기를 좀 보세요. 돌더미 사이로 물이 흐르고 있죠?” “새끼손가락보다 얇은 이 물줄기가 바로 225㎞의 호남 젖줄 섬진강의 시작이라니!”
“이 작은 샘에서 솟은 물은 3개도와 10개 시군, 34개 읍면을 지금도 열심히 지나갈 겁니다.”
소문만큼 미묘하진 않은 물맛, 그 대신 맑고 차다. 바로 여기서 데미샘과 섬진강에 얽힌 실타래같은 비밀도 풀수 있을까?
“데미샘의 이름이 궁금하다고 했죠? 여기 글을 한번 읽어볼래요?”
“‘데미샘에 있는 봉우리를 천상데미라고 하는데…’ 흠, ‘데미’라는 말은 ‘더미’ 즉 봉우리를 가리키는 전라도 사투리에서 기원한 것이었군요. 생뚱맞게도 이 스테인리스 안내판이 제 궁금증을 말끔히 해소시켜줄 줄이야!”
여기서 백운동계곡은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투구봉, 선각산 시루봉, 덕태산 등과 연계한 코스에 관심이 있다면 이 계곡이 그 출발점이다.
“이름도 잘 모르는 폭포를 잘 찾을 수 있을까 했는데, 마을 사람들에게 물으니 모두 ‘아아 그 폭포~’ 하며 친절히 알려주네요. 덕분에 데미샘 찾는 것보다 훨씬 쉽게 왔어요.”
“여기는 그다지 이름난 곳이 아니어서 찾는 이들도 많지 않군요. 멀리서 봐도 저기 저 시원하게 내려가는 물줄기가 참 옹골차죠?”
데미샘의 이름을 딴 자연휴양림도 있다. 이곳은 수백여 종의 희귀식물과, 천상데미에서 오계치에 이르는 신갈나무 군락지 등 볼거리를 비롯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데미샘자연휴양림 등산로도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됐군요. 과거 이곳에 왔을 땐 선각산 등 이 지역 주요 명산의 훼손된 산길을 정비하는 공사가 한창이었는데…”
“저는 저 휴양림에 대한 광고를 언젠가 본 적이 있는데, 단지 숙박시설만 갖춘 건 아니라죠. 데미샘과 뛰어난 식생자원을 활용해 생태학습이나 숲 체험 공간이 마련돼 있다죠.”
진안의 백운면은 자연휴양림과 같은 다양한 숙박휴양시설을 갖추고, 산길이나 둘레길이 잘 닦여 있어 여행객들에게 참으로 매력적인 곳입니다. 물길 따라 걷고 지역 인심과 흙내음만으로도 만족할 수 있는 이 마을이 섬진강길 걷기 코스의 시발점이 되듯, 팔공산자락에는 섬진강의 창대한 꿈을 품은 데미샘이 흐르고 흘러 장대한 호남의 젖줄이 됩니다. 작은 샘물이 어떻게 강이 되었나를 되짚어보며 물맛도 보고 사색할 수 있는 기분 좋은 시간과 공간을 내어주는 백운면으로 호젓한 남도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떠세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