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국물요리 | 밥,죽 |
볶음,조림 |
| 찜,구이 |
절임,무침, 샐러드 |
면,만두 |
전,부침, 튀김 |
| 빵,과자, 떡 |
김치,젓갈류 |
생선회,육회 |
양념,기타 |
옴천토하젓
옴천 토하젓은 1급수에만 서식하는 민물새우 토하를 이용해 젓갈이다...
전남 강진군
돌산 갓김치
돌산 갓은 따스한 해양성 기후와 알칼리성 토양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전남 여수시
전복장
간장에 담그는 해산물이 간장게장뿐인 것은 아니다. 서구에서 맛볼 ...
부산 서구
김치
남도 김치는 소금 간을 넉넉히 하고 양념을 듬뿍 넣어 만든 남부지...
광주 동구
어리굴젓
싱싱한 자연산 굴과 천일염, 고춧가루가 만나 탄생한 어리굴젓은 임...
전남 고흥군
김포순무김치
김치는 지역에 따라 담그는 법이 천차만별이라 어떤 음식보다도 지역...
순창 고추장
장맛은 저마다 고유의 제조비법에 따라 정해진다. 하지만 순창은 그...
경남 사천시
젓갈
어패류의 육, 내장, 생식소등에 식염을 가하여 부패를 억제하면서 ...
강원 속초시
감동젓무
옛날 서울 대갓집에서는 감동젓무 또는 감동젓이라 하는 깍두기를 많...
서울 금천구
제주시에서 맛볼 수 있는 별미인 갈치국은 싱싱한 갈치를 토막 내 호박과 얼갈이배추, 풋고추를 넣고 소금간을 해 만든 국이다. 갈치가 들어가면 탁하거나 비릴 것 같은데 전혀 그렇지 않고 국물이 칼칼하면서도 시원하다. 통통한 갈치 살을 발라먹으면 부드럽고 알찬 식감에 반하고, 뽀얀 국물을 떠먹으면 담백하면서도 고추가 들어가 칼칼한 맛이 나 뒷맛이 깔끔한 것이 일품이다. 갈치는 바다 깊이 살면서 운동을 별로 하지 않아 비교적 살이 연한 편으로 소화기가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영양식으로 적당하다. 갈치에는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이 있어 소화촉진에도 좋고 밥맛이 없을 때 식욕을 증진 시켜 준다. 깨알정보 tip 제주 갈치국과 같은 방식으로 끓인 것을 경남 지역에서는 ‘생갈치호박국’이라고 부른다. 갈치국은 식으면 비린 맛이 심해지기 때문에 따뜻할 때 먹어야한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