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민의 삶 속을 들여다보는 북구 당일코스1, 국내여행, 여행지추천

오른쪽으로 이동왼쪽으로 이동

트래블아이 특집
전체 문화 탐사 명물
시티투어

부산서민의 삶 속을 들여다보는 북구 당일코스1

부산 북구는 경부선 철도가 지나면서 일제강점기 때 교통의 요충지였다. 광복 이후에는 상공업이 번창했고 현재는 대규모 주택단지가 조성돼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진 환경생태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구포시장, 화명생태공원, 부산어촌민속관 등 생태문화관광코스를 두로 돌아나가다 보면 북구지역의 풍성한 삶속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pdf다운로드

컨텐츠호감도

지역호감도 부산 북구
스팟타이틀

코스기본정보

상세스팟정보

상세스팟정보

  • 1
    성북천,국내여행,여행지추천
    성북천

    서울 백악의 동쪽 골짜기에서 시작돼 삼선교, 돈암동을 거쳐 청계천으로 접어드는 길이다. 삼청각 뒤편에 자리한 홍련사라는 절집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백악의 남동쪽 골짜기를 따라 내리 달리다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명수학교 근처에서 물길 흐름을 더 이상 잇지 못하고 아스팔트 속으로 자취를 감춘다. 서울 백악의 동쪽 골짜기에서 시작돼 삼선교, 돈암동을 거쳐 청계천으로 접어드는 길이다. 삼청각 뒤편에 자리한 홍련사라는 절집에서 시작된 물줄기는 백악의 남동쪽 골짜기를 따라 내리 달리다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명수학교 근처에서 물길 흐름을 더 이상 잇지 못하고 아스팔트 속으로 자취를 감춘다.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3가 80-3
    연락처02-920-3114(성북구청)

  • 2
    보문사,국내여행,여행지추천
    보문사

    만여 평의 대지위에 대가람의 규모를 갖추고 있는 보문사는 비구니들이 거처하는 조용한 암자다. 고려 예종 10년(1115)에 혜조국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승됐다. 조선 후기 숙종 18년 (1692)에 묘첨 스님이 대웅전을 중건했고, 영조 33년 (1757)에 보찬, 유봉 스님이 대웅전을 수축했다. 만여 평의 대지위에 대가람의 규모를 갖추고 있는 보문사는 비구니들이 거처하는 조용한 암자다. 고려 예종 10년(1115)에 혜조국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승됐다. 조선 후기 숙종 18년 (1692)에 묘첨 스님이 대웅전을 중건했고, 영조 33년 (1757)에 보찬, 유봉 스님이 대웅전을 수축했다.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보문동 3가 168
    연락처02-920-3413

  • 3
    보타사,국내여행,여행지추천
    보타사

    보타사에는 큰 바위면에 거대하게 부조한 불상인 보타사 마애불이 있다. 바위면의 굴곡을 이용한 독특한 형식의 마애보살상이다. 머리부분은 돌출한 암면에 새겨 앞으로 약간 숙이게 했으며, 신체는 비스듬하게 표현하고 있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좌우로 깃 같은 표현이 있어서 조선시대 보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보타사에는 큰 바위면에 거대하게 부조한 불상인 보타사 마애불이 있다. 바위면의 굴곡을 이용한 독특한 형식의 마애보살상이다. 머리부분은 돌출한 암면에 새겨 앞으로 약간 숙이게 했으며, 신체는 비스듬하게 표현하고 있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좌우로 깃 같은 표현이 있어서 조선시대 보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7
    연락처02-923-4067

상세스팟정보

지도 보기

  • 함께만드는 트래블아이
  • 마이페이지
  • 수정요청

트래블아이 여행정보 수정문의

항목 중에 잘못된 정보나 오타를 수정해 주세요.
수정문의 내용은 트래블아이 담당자에서 전달되어 검토 후에 수정여부가 결정되며 검토결과에 대한 내용은 메일로 전달드립니다. 검토 및 반영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이름(ID)
수정을 요청하는 정보항목
수정문의 내용입력 (필수)

내용중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기타문의는 고객센터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0 / 5,000자)

수정요청 닫기
확인 취소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주재기자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파워리포터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한줄리포터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