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때 묻지 않은 자연을 만끽하고, 문학의 향기를 느끼고 싶다면 주저 없이 영양으로 향하면 된다. 청정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반딧불이를 볼 수 있고, 청록파 조지훈 시인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영양. 당신이 가봐야 할 여행코스에 절대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총거리
30.2 km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건립되었던 고부향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 74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찾아 볼 수 있는 고부향교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500년대 후반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건한 것이다.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건립되었던 고부향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 74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찾아 볼 수 있는 고부향교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500년대 후반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건한 것이다.
주소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168
연락처063-536-0176
동학 농민혁명 기념관은 동학 농민군의 최초 승전지인 황토현 전적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기념관 안에는 이 혁명에 사용되었던 무기와 생활용품, 전적에 대한 기록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실이 꾸며져 있으며, 매년 두 차례에 걸쳐 기획 전시가 열리기도 한다.
동학 농민혁명 기념관은 동학 농민군의 최초 승전지인 황토현 전적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기념관 안에는 이 혁명에 사용되었던 무기와 생활용품, 전적에 대한 기록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실이 꾸며져 있으며, 매년 두 차례에 걸쳐 기획 전시가 열리기도 한다.
주소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15
연락처063-536-1894
사적 제 295호로 지정되어 있는 황토현 전적지는 1800년대 후반, 고부 군수의 학정에 대항하기 위해 일어섰던 농민군과 관군이 충돌하였던 곳이다. 이곳에 세워진 ‘갑오 동학혁명 기념탑’은 당시의 상황을 돌이켜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사적 제 295호로 지정되어 있는 황토현 전적지는 1800년대 후반, 고부 군수의 학정에 대항하기 위해 일어섰던 농민군과 관군이 충돌하였던 곳이다. 이곳에 세워진 ‘갑오 동학혁명 기념탑’은 당시의 상황을 돌이켜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주소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산2
연락처063-536-2310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